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Midjourney
- 수학에 투자할 때
- 딸에게 쓰는 편지
- 고등학생
- 고딩 딸내미
- 지방 거점 국립대
- 오십즈음
- 미화부
- 엄마는 고달프다
- 내신 3~4등급
- 고등학생 딸에게 쓰는 편지
- 자녀와 관계
- Midjouney
- 딸내미
- 고등학교 수학 성적 올리는 법
- Stable Diffusion
- 생성형 ai
- Generative AI
- ChatGPT
- Hugging Face
- 고대 세종캠퍼스
- AI가 만드는 미래 전공
- 미드저니
- 고등학교 생활
- 미래 디자이너의 역할
- 데이비드 홀츠
- 고등학생의 미래
- 고2 과탐준비
- OpenAI
- 입시 블랙홀
- Today
- Total
Experienced System engineer, Mom
국내외 AI Celebrity (유명 인사들) 본문
AI 기술을 선도하는 분들로 현재도 유명하지만 앞으로 더 유명해질 분들이시다. 이름과 중요 이력 정도 알아두면 AI 역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1950년대 태동기
1956년에 존 맥카시(미국의 컴퓨터 과학자이자 수학자)가 인공지능 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고, 50년대 후반부터 학문적인 연구들이 시작됐다. 하지만 인공지능 연구는 오랜 침체기가 있었고 2016년 구글의 자회사인 Deepmind의 알파고가 세계적인 바둑기사 이세돌 9단을 이기면서 인공지능은 다시 전세계적인 붐을 가져왔다.
2000년대 AI 딥러닝의 시작
현재의 AI를 얘기하려면 이 분 부터 시작해야한다.
- AI의 대부이자 현재의 딥러닝 기술을 탄생시키신 아버지이시다.
- 죽어가던 인공지능(신경망) 연구를 살리고, 인공지능 학습을 하는데 딥러닝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증명해 내셨다.
☆ 제프리 힌튼 교수(Geoffrey Hinton, 1947년 ~ )
![]() |
- 영국 출신의 인지심리학자 이자 컴퓨터 과학자 - 현재 토론토 대학교 머신러닝 연구소 재직 중 - 1986년 럼멜하트의 오류 역전파 알고리즘(Backpropagation) 연구에 참여하여 인공지능 연구의 긴 겨울을 끝내는데 기여 - 2006년 심층 신뢰 신경망(Deep BeliefNetwork, DBN) 알고리즘으로 기존 인공신경망의 한계를 극복하고 딥러닝 시대를 여셨다. (A fast learning algorithm for deep belief nets)(논문) - 2023년 5월 구글 Brain과 DeepMind 합병 직후 구글을 퇴사 - 현재의 AI는 위험하기 때문에 빅테크 기업들이 책임감을 갖고 규제에 앞장서야 한다는 "AI윤리"를 강조하고 계심 |
제프리 힌튼 교수 연구실에서는 아주 유명한 제자들이 배출됐다.(당연한 얘기!).
그중 CNN의 아버지라 불리는 "얀 르쿤"(포닥)이 있고, OpenAI 공동 설립자 "일리야 수츠케버(Ilya Sutskever)"(박사과정) 가 유명하다.
먼저 얀 르쿤 대해서 알아보면, 딥러닝 분야 중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의 아버지라고 불리신다.
얀 르쿤 교수(Yann LeCun, 1960년 ~ )
![]() |
- 프랑스 출신의 컴퓨터 과학자 - 현재 뉴욕대학교(NYU) 교수이자 메타(과거 페이스북)의 최고 AI 과학자 - AI 시스템이 인간처럼 학습하고 추론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비전를 갖고 있으며, 메타에서 '인간과 같은(human-like)' 인공지능 모델 연구중 - 1989년 오류역전파 알고리즘(backpropagation algorithm)에 기반하여 우편물에 손으로 쓰여진 우편번호를 인식하는 deep neural networks 소개(논문) - 2023년 조인트 임베딩 예측 아키텍처를 사용한 이미지의 자기 지도 학습(Self-Supervised Learning from Images with a Joint-Embedding Predictive Architecture) (논문)(소스) |
얀 르쿤과 함께 딥러닝 발전에 기여한 사람(딥러닝을 만들어낸이라고도 한다.)으로 요슈아 벤지오 교수를 뽑을 수 있다. 제프리 힌튼의 역전파 알고리즘 논문을 읽고 AI쪽으로 연구를 시작했으며, 얀 르쿤 연구실에서 포닥을 하셨다. 르쿤 교수와는 벨 연구소에서 인연이 있었다고 한다.
요슈아 벤지오 교수(Yoshua Bengio, 1964년 ~ )
![]() |
- 프랑스 출신의 캐나다 컴퓨터 과학자 - 몬트리올 대학교 교수 이자 학습 알고리즘 연구소의 과학 책임자 - 2016년 ElementAI를 설립 - 2023년 인공지능의 탄생 위험, 핵의 위험성 이상으로 중요한 사안이라고 주장했다. 보안에 대한 투자, 국제적 공조, 인공지능이 필요한 이유를 대중에게 납득시키기 등을 주장 |
★ 2018년 ACM 튜링상(Turing Award)은 힌튼, 르쿤, 벤지오 교수가 수상
튜링상은 "컴퓨터 과학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상으로 현대 전산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앨런 튜링의 이름을 따서 만든상
앞서 소개한 3분(힌튼, 르쿤, 벤지오)을 "AI 3대 천황"이라고 얘기하기도 하는데,
여기서 한 분을 추가해서 4대 천황으로 부르기도 한다.
그분이 바로 앤드류 응 교수님이시다.
이분은 인공지능 교육 발전에 엄청난 공헌을 하신 분이다.
스탠퍼드 대학에 몸담으시면서 “CS229”라는 머신러닝 강의를 온라인으로 공개 오픈하셔서 인공지능 대중화에 큰 기여를 하셨다. (나도 이분 강의로 머신러닝 공부를 했다. 감사드린다.)
앤드류 응(Andrew Ng, 1976년 ~ )
![]() |
- 중국계 미국 국적의 컴퓨터 과학자 이자 교수 - 21세기 딥러닝계에서 가장 괄목할 만한 성과를 올린 과학자 - 인공지능 시스템 구축에 있어서 코드는 요리사에, 데이터는 재료에 비유하며 대부분의 성능 향상은 데이터에 의해 일어난다고 주장 - 2011년 구글브레인 설립에 참여 - 2012년 온라인 공개 강좌 플렛폼 코세라를 창업 - depplearning.ai(인공지능 교육 플랫폼), Landing AI(인공지능 클라우드 서비스), AI Fund(인공지능 스타트업 펀드) 등을 설립하여 사업중 |
4대 천황 중 두분을 스승으로 모신 아주 운이 좋으신 분이 있다. 바로 일리야 수츠케버이다.
이 분은 힌튼 교수 에게 박사과정, 앤드류 응 교수 에게 포닥(박사후 연구과정)을 하셨다.
세계적인 딥러닝 석학 두 분에게 배웠으니 인공지능 기술을 잘 알고 잘 만들수 밖에 없는 인물이시다.
일리야 수츠케버(Ilya Sutskever, 1985년 ~ )
![]() |
- 이스라엘계 캐나다 국적의 컴퓨터 과학자 - OpenAI의 공동 창립자이면서 현재 기업의 수석 과학자를 역임 - 졸업 후 힌튼 교수와 CNN 아키텍처인 AlexNet을 공동으로 설계 - 2012년 이미지넷이 주최하는 ILSVRC 컴퓨터 비전 대회에서 이미지 분류분야 우승 - 구글에서는 텐서플로우, 알파고 출시를 지휘하셨고 OpenAI로 이직 - 2015년 OpenAI에서 ChatGPT, GPT-4 설계 주도 - 2024년 OpenAI 퇴사후 Startup 설립(Safe Superintelligence or SSI) |
현재 AI 는 인간이 잠자는 순간에도 살아 숨쉬고 진화해가고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GPT는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의 약자이다. 여기서 Transformer(트랜스포머)를 공동 발명하면서 현재 AI 언어모델의 표준 기술로 자리잡고 게임 체인저를 시킨 분이 아시시 바스와니 이시다.
* 트랜스포머 이전에는 딥 러닝 모델로 컨볼루션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과 순환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 RNN) 이 인기가 있었으나 현재는 트랜스포머가 대세다.
트랜스포머를 "파운데이션 모델"로 부르기도 한다.(On the Opportunities and Risks of Foundation Models)(논문)
아시시 바스와니(Ashish Vaswani, 1986년 ~ )
![]() |
- 인도계 미국 국적의 머신러닝과 자연어 처리 분야 연구원이자 AI 엔지니어 - OpenAI에서 연구원으로 근무(2013~2017) - 구글 브레인에서 연구원으로 근무(2017 ~ 2021) 이 기간 동안에 트렌스포머(Transformer) 아키텍처 공동 개발 - 현재는 구글을 떠나서 자연어 처리 및 기계 번역 기술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창업(Adept.AI) - 2017년 신경정보처리시스템학회(NeurIPS)에서 발표한 트렌스포머 논문이 현재 GPT의 기반기술이 됐다.(Attention Is All You Need) (논문) |
트랜스포머 모델은 문장 속 단어와 같은 순차 데이터 내의 관계를 추적해 맥락과 의미를 학습하는 신경망을 의미한다.
어텐션(attention) 또는 셀프 어텐션(Self-attention)이라 불리며,
요소들 사이의 패턴을 수학적 기법으로 찾아내기에 기존에 머신러닝에서 필요했던 라벨링된 데이터 세트 훈련이 필요 없는 혁신적인 방법이다.
마지막으로 현재 가장 AI 핫한 기업 OpenAI와 구글 DeepMind 유명인사를 소개하려고 한다.
먼저, ChatGPT로 유명한 OpenAI CEO 샘 알트만과 CTO 그렉 브록만을 소개하려고 한다.
2023년 6월에 내한(K-Startups meet OpenAI), 대통령 초청으로 대통령실에서 접견하고 가는 유명인사가 되셨다.
샘 알트만(Sam Altman, 1985년 ~ )
![]() |
- 미국인 기업가, 투자가 - 2011년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인 Y Combinator의 파트너로 합류, 2014년에 대표 역임 - 엔젤 투자자로서 에어비앤비, 레딧, 스트라이프, 인스타카트, 핀터레스트 등 여러 스타트업의 초기 펀딩에 참여함으로서 막대한 수익을 벌여들였고 2015년에 포브스가 선정한 30세 미만의 최고 투자자로 선정 - 2015년 OpenAI 공동 창업하여 ChatGPT, GPT-4등을 출시 |
OpenAI에서 샘 알트만은 AI 개발자라기 보다는 탁월한 경영자 겸 투자자에 가깝다. 기술 리딩은 일리야 수츠케버가 담당하신다.
그러면 그렉 브록만은 누구인가? 창업 전에는 머신러닝에 대해서 몰랐다가 4년간의 독학으로 머신러닝 전문가가 되시고 OpenAI CTO까지 하신 전형적인 컴퓨터 엔지니어이다.
그렉 브록만(Greg Brockman, 1985년 ~ )
![]() |
- 미국인 기업가, 투자가, 프로그래머 - 2011년 핀테크 스타트업 스트라이프(Stripe) CTO - 2015년 OpenAI CTO를 역임하고 공동 창업시 그의 주도로 샘 알트만과 일론 머스크가 합류했다는 설이 있다. - 개인 블로그에서 머신러닝 공부 경험을 공유(블로그) - 2023년 TED에서 연설이 큰 주목을 받았다.(영상) |
현재의 AI 기술은 구글이 주도했다고 과언이 아니다.
OpenAI의 GPT가 탄생하게 된 것도 트랜스포머 기술 덕분인데, 이 기술을 개발하여 공개한 것은 구글이다.
구글 딥마인드에서는 새로운 거대언어모델 "Gemini"를 개발 중이며 여기에는 능력자 제프 딘과 허사비스가 있다.
제프 딘은 1999년 구글에 합류한 뒤 구글 서비스의 근간이 되는 기술들을 주도하였으며
구글 브레인의 리더였으며 천재 개발자이다.
구글러들 사이에선 "제프 딘의 키보드에는 0과1 두 개의 키 밖에 없다"로 뛰어난 실력을 유머있게 표현한 말도 있다.(재미있는 제프딘의 진실)
제프 딘(Jeffrey Adgate Dean, 1968년 ~ )
![]() |
- 미국의 프로그래머이자 구글 딥마인드 수석 과학자 - 1999년 구글에 입사 이래 전설적인 프로그래머 - 텐서플로우, 맵리듀스, 빅테이블, 스패너 등 구글 핵심 프로젝트를 리딩했으며, 구글 검색,번역,광고의 초창기 버전 엔지니어링 주도 - 2023년 구글 브레인과 구글 자회사인 딥마인드의 합병이후 수석 과학자로 일하며 |
데미스 하사비스(Demis Hassabis, 1976년 ~ )
![]() |
- 영국의 컴퓨터 과학자이자 구글 딥마인드(DeepMind) CEO - 2016년 딥마인드가 개발한 바둑 인공지능 "알파고"는 이세돌 구단을 이기면서 AI의 위력을 알렸다. - 알파고 이후 알파폴드(AlphaFold)라는 단백질 구조예측 AI를 만들어서 생물학적 엄청난 진보를 가져왔다. - 하사비스는 딥마인드 수장으로서 구글의 차세대 제품 및 서비스 강화에 도움을 줄수 있는 AI를 개발중이다. |
구글 딥마인드(DeepMind) 회사는
- 2023년 구글 브레인과 자회사 딥마인드가 합병한 회사로
- 구글 브레인의 천재 개발자 제프 딘이 수석 과학자를 맡고, 허사비스가 CEO이다.
- 이 환상의 팀은 New 초거대모델 "Gemini" 를 개발 중으로 BARD에 적용 예정이다.
- 가장 앞서 나가면서도 책임감 있는 일반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을 이끌어갈 예정으로 앞으로가 기대되는 회사이다.
이외에도 AI에서 급부상하고 있는 한국인 AI 업계 전문가분들도 소개하고 싶다.
- 2023년 5월에 구글의 AI 챗봇 "바드"를 출시하면서 영어를 제외한 언어로 한국어와 일본어를 우선 지원했다. 한국의 최첨단 IT기술을 인정하고 AI 기술에 있어서도 비중있게 보는 시장이 한국시장이다.
- 제프리 힌튼의 추천으로 블룸버그가 선정한 "2018년 주목할 인물 50인"에 선정되시고, 얀 르쿤이 인터뷰에서 천재라고 언급하셨다.
- 벤지오 교수 연구실에서 포닥(박사 후 과정)을 했고, 르쿤 교수는 뉴욕대 동료이신 막강 인맥을 가지신 자랑스런 한국인이시다.
조경현 교수(Kyunghyun Cho, 1985년 ~ )
![]() |
- 한국인 뉴욕대 교수, 딥러닝을 이용한 자연어 처리 분야 최고 연구자 - Google Brain, OpenAI, DeepMind 등 세계적인 인공지능 연구 기관에서 연구원으로 활동 - 2014년 요슈아 벤지오와 함께 "신경망 기계 번역 알고리즘(NMT)"를 발표하여 기계 번역의 역사를 새로 썼다고 평가받음(논문) - 현재는 구글, 네이버 등 대부분의 번역 엔진이 NMT로 전환 |
신경망 기계 번역(NMT) 이란?
기존 기계 번역은 원문과 번역본 사이에서 ‘단어’가 어떻게 번역됐는지 보고,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번역하는 시스템이었어요.
(단어 하나하나를 따로 번역하는 방식)
단어와 어순이 비슷한 언어끼리는 번역이 잘되는데, 한국어·영어처럼 완전히 다른 언어끼리는 엉터리 번역이 많았죠.
‘신경망 기계 번역’은 딥 러닝을 적용해 문장의 전체 ‘맥락’을 파악해 번역하는 방식입니다.”
기계 번역이지만 사람이 직접 번역한 듯 자연스럽게 번역할 수 있는 장점이 있죠.
예컨대 과거엔 ‘나 말리지 마’란 문장을 번역기에 돌리면 ‘Don’t dry me’가 나왔지만, 요즘은 ‘Don’t stop me’가 나온다. (출처)
한국의 젊은 앤드류 응 같으신 분이 김태훈님 같다.
기술 공유에 진짜 적극적이시고 내용도 알차서 이것만 찾아서 읽어도 AI 기술 트렌드 및 공부에 큰 도움이 된다. (게다가 무려 한글^^)
Symbiote AI 김태훈(ID : carpedm20)
![]() |
- 2016 Devsisters Research Engineer - 2018 OpenAI 개발자 - 2022(현재) Symbiote co-founder/CEO - Generative AI에 중심을 두고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중 - 읽으면 도움되는 글
|
한국에서 이루다 챗봇으로 유명해진 스캐터랩이 있다.
스캐터랩은 Social intelligence 능력을 갖춘 LLM(Large Languate Model)으로 다양한 소셜 에이전트를 만들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고자 한다고 한다.
스캐터랩(Scatter Lab) 김종윤
![]() |
- ScatterLab co-founder/CEO - 2018년과 2019년 2년 연속 포브스 선정 IT&테크 분야 ‘2030 파워리더 30인'에 선정 - 한국어 대화형 AI로 유명한 챗봇 '이루다'를 만듬 - 스캐터랩은 감성 AI 리딩 업체로 자체 서비스로 이루다, 블림프, 연애의 과학이 있다. |
중요 인물들에 대해서 정리하다보니 AI 빅테크 기업들에 대해서 알아볼 필요가 있겠다. 특히 여기서 언급된 구글 딥마인드(브레인과 딥마인드 합병회사), OpenAI, 메타 는 향후 AI 서비스 발전 방향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기업들이다.
'[Tech] > [Tech] Hug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tGPT 답변 잘하게 하는 방법(Prompt Engineering) (0) | 2023.07.11 |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Prompt Engineering)은 언제까지 필요할까? (0) | 2023.07.03 |
AI 작곡가 (1) | 2023.06.19 |
OpenAI Sam Altman(샘 알트만)을 한국에서 보다. (0) | 2023.06.12 |
AI로 해결하는 고1 수학 수행평가 (0) | 2023.06.12 |